동의아유르베다 오은수 컬럼 10편
[코리아뷰티타임즈]
- <10편> 차크라에 대한 이야기 -
동양에서는 인간을 정, 기, 신이라는 생체 에너지의 세 가지 형태가 합쳐져서 이루어진 존재로 보고 있다. 정은 물질적인 육체, 기는 에너지 정보체, 신은 영체를 말한다.
또한 인체의 상, 중, 하단전의 에너지는 모두 무지갯빛 에너지를 받아야 영위하게 되는데 상, 중, 하단전의 위치와 연결되는 색을 살펴보면, 상단전은 머리 부분으로 파란색 계열인 파란색, 남색, 보라색과 연결된다.
중단전은 흉부(몸통) 부분으로 녹색 계열인 노란색, 녹색, 초록색과 연결된다. 하단전은 하복부(배꼽 아래) 부분으로 붉은색 계열로 빨강, 주황과 연결된다.
이렇게 상, 중, 하단전에 미치는 색이 빛의 삼원색이며, 이 빛의 삼원색에서 인체에 내재 된 정보에 동조하는 빛과 맞는 색이 인체의 정과 기와 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인도의 아유르베다 의학에서는 인체를 좀 더 세분하여 7개의 에너지 센터(차크라)로 나누고 있는데, 각각의 에너지 센터는 생명력과 의식을 가지는 7가지 무지개색을 통하여 에너지를 받아 인체를 영위하며, 특정한 부위의 질병은 색의 부족이나 과잉으로 생기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몸에서의 차크라 구조는 손에서도 그대로 상응하여 나타나므로 몸에 색을 칠하기보다 더 쉽고 편리하게 손에 색을 칠하거나 색 테이프를 붙이면 해당 차크라가 활성화되어 몸과 마음, 영혼이 조화를 이루게 된다.
이번 회차에서는 7개의 차크라 관련한 인도와 동양에서의 명칭과 각 차크라의 내용과 위치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1 차크라는 인도에서는 물라다라(muladhara), 동양에서는 회음차크라로 명하며 부신 호르몬의 기능과 유사한 생존의 차크라로 항문과 생식기 사이(미저골 신경총)에 위치한다.
▶2 차크라는 인도에서는 스와디스타나(svadhishana), 동양에서는 단전차크라로 명하며 활력과 움직임, 성적표현에 관여하는 차크라로 척추 맨 끝 꼬리뼈(천골 신경총)에 위치한다.
▶3 차크라는 인도에서는 마니푸라(manipura), 동양에서는 위장차크라로 명하며 췌장의 기능과 유사한 에너지, 욕망에 관여하는 차크라로 배꼽 뒤 척추 내벽(태양 신경총)에 위치한다.
▶4 차크라는 인도에서는 아나하타(anahata), 동양에서는 가슴차크라로 명하며 흉선의 면역력 향상시키는 호르몬 분비로 사랑과 봉사에 관여하는 차크라로 심장 뒤의 척추 내벽(심장 신경총)에 위치한다.
▶5 차크라는 인도에서는 비슈다(vishudda), 동양에서는 목차크라로 명하며 갑상선과 연계되며, 자기주장, 창조 투쟁력에 관여하는 차크라로 척추 내의 목 부위(경부 신경총)에 위치한다.
▶6 차크라는 인도에서는 아즈나(ajna), 동양에서는 미간차크라로 명하며 뇌하수체와 연계되며, 직관, 지능, 투시력에 관여하는 차크라로 두뇌 중앙의 뇌간에 위치한다.
▶7 차크라는 인도에서는 사하즈나라(sahasrara), 동양에서는 두정차크라로 명하며 송과체와 연계되며, 초월, 초 의식, 정신적인 기능에 관여하는 차크라로 머리끝 정수리에 위치한다.
위 1 차크라에서 7 차크라까지의 각각의 칼라는 무지개 칼라가 적용된다. 즉 빨, 주, 노, 초, 파, 남, 보라색을 1 차크라부터 순차적으로 대입하면 된다.
각각의 칼라는 해당 차크라에 에너지가 되어 힘과 활력을 주게 되는데 칼라의 부족함과 과잉 함에 따라서 에너지의 균형상태가 다를 수 있고, 에너지의 균형이 바르지 못하게 되면서 정신적, 육체적 질환이 올 수도 있다.
반면에 칼라의 에너지가 원활한 사람은 건강한 생활의 리듬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회차에 차크라의 큰 틀에 대해서 전하였고, 다음 회차에서는 1 차크라에서 7 차크라까지 각각의 차크라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다룰 것이다.
오은수 교수
정화예술대학교 뷰티메디컬스킨케어전공 교수
과정평가자격 심사위원
코리아뷰티타임즈 편집위원
NAVER와 DAUM과 Google에서 함께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바른언론 아름답고 건강한 뉴스'<코리아뷰티타임즈>